반응형

코로나 국민 상생지원금 신청이 9월 6일(월)부터 시작되었습니다.

국민지원금(5차 재난지원금) 신청 기간은 9월 6일(월) 9시부터 10월 29일(금)18시 까지 입니다.

아래 글을 읽어보시면서 코로나 상생 국민 지원금 신청 홈페이지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5차 재난 지원금 지급 시기

 

 

코로나 상생 국민 지원금 신청 홈페이지를 알기 전에 먼저,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 지급시기부터 알아보겠습니다. 5차 재난지원금은 신청 다음날 지급이 된다고 합니다. 오늘 신청하신 분들은 내일부터 사용이 가능합니다. 별도 지급시기가 정해진게 아니라 개인 신청일 기준 다음날 지급되는 점 잊지 마시길 바랍니다.

 

국민지원금 신청 기간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은 언제 신청이 가능할까요.

 

9월 6일(월)부터 10월29일(금)까지

  • 요일제 적용
    대상자 조회온·오프라인 신청 모두 시행 첫 주에는 출생년도 끝자리에 따라 요일제를 적용
토, 일
1,6 2,7 3,8 4,9 5,0 모두 가능

*첫 주 이외에는 요일제와 관계 없이 모두 조회 및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 신청 가능

 

신청 기간에 관한 자세한 조회 방법은 아래 글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 신청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 신청 (5차 재난 지원금) 지급 규모 1인당 25만원  구분 1인 가구 2인 가구 3인 가구 4인 가구~ 지급액 25만원 50만원 75만원 100만원~ 신청 대상 소득 하위 80% 소득 하위 80% 이

korea.rankpang.com

 

코로나 상생 국민 지원금 신청 홈페이지

코로나 상생 국민 지원금 신청 홈페이지는 9월 6일(월) 오전 9시부터 카드사 홈페이지, 앱, 콜센터, ARS,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앱 등에서 조회 가능합니다.

※ 2002년 12월 31일 이전 출생한 성인은 개인별 신청, 개인별로 지급

신용, 체크카드

신용카드 및 체크카드로 충전 시, 9월 6일(월)부터 카드사의 홈페이지에서 신청 가능하며, 9월 13일(월)부터는 카드와 연계된 은행에서 오프라인 신청도 가능. 아래 바로가기 링크를 클릭하면 해당 홈페이지로 연결됩니다.

국민카드 농협카드 롯데카드
비씨카드 삼성카드 신한카드
우리카드 하나카드 현대카드

※ 은행창구로 신청 가능 : 신한은행, KB국민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농협은행, 기업은행, SC제일은행, 대구은행, 부산은행, 경남은행, 광주은행, 전북은행, 제주은행, 새마을금고, 우체국, 농협, 축협, 수협, 신협

 

지역화폐카드

지역사랑 상품권 모바일형이나 카드형(지역화폐카드)으로 국민지원금을 받기 원하면, 9월 6일(월)부터 주소지를 관할하는 지자체의 지역사랑상품권 앱 또는 홈페이지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다. 아래 바로가기 링크를 클릭하면 해당 홈페이지로 연결됩니다

서울시 부산시 대구시
인천시 광주시 대전시
울산시 세종시  
경기도 강원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제주도

신청일 다음날 본인이 소지한 지역사랑상품권에 충전되며, 기존의 지역사랑상품권 잔액과는 구별되어 우선 사용됩니다.

선불카드

9월 13일(월)부터는 주소지를 관할하는 읍면동 주민센터에 방문하여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읍면동 주민센터에서는 지류형 지역사랑상품권 및 선불카드가 지급됩니다.

 

사용처에 관한 자세한 방법을 알고 싶으신 분은 아래 글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재난지원금 신청방법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이라는 이름으로 5차 재난지원금이 지급된다.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 5차 재난지원금 신청방법과 대상, 소득기준, 지급 시기등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코로나 상생

korea.rankpang.com

 

사용기간

코로나 상생 국민 지원금 홈페이지는 12월 31일까지 약 4개월간 사용할 수 있으며, 기간 내에 사용하지 않은 잔액은 국가와 자치단체로 환수될 예정이니 꼭 기간안에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재난지원금 신청 사용

코로나 상생 국민 지원금 신청 홈페이지는 코로나 장기화에 따른 피해지원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사용처 · 사용기한이 정해져 있음

 

사용처

  • 특별시, 광역시 거주자
    특별시, 광역시에 소재한 지역사랑상품권 가맹점에서 사용이 가능
    예: 대전광역시 서구에 소재해도 대전 전 지역 사용 가능
  • 도 거주자
    세부 주소지에 해당하는 시·군 내의 지역사랑상품권 가맹점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예: 경기도 수원시에 소재하면 수원시 내에서만 사용 가능
  • 대표적으로 전통시장, 동네 슈퍼마켓, 식당, 미용실, 약국, 안경점, 의류점, 학원, 병원, 프랜차이즈 가맹점(편의점, 빵집, 카페, 치킨집 등) 등에서 사용 가능
  • 지역사랑상품권 앱, 자치단체 홈페이지, 국민지원금 사용처 홈페이지(바로 가기 : https://국민지원금사용처.kr)에서 자세히 확인 가능

 

이의신청

코로나 상생 국민 지원금 신청 홈페이지 선정 결과에 이의가 있는 국민들을 위해 별도의 이의신청 절차 운영 예정

  • 6월 30일 이후, 혼인이나 출산 등으로 가족관계가 변동된 경우
  • 건강보험료 조정이 필요한 경우

 

이의신청 방법 및 기간

  • 온라인: 바로가기 👉 온라인 국민신문고
  • 오프라인 : 주소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
  • 기간 : 9월 6일(월) ~ 11월 12일(금)까지

 

건강보험료 기준

코로나 상생 국민 지원금 신청 홈페이지 지원 대상 선정기준에 따른 가구별 건강보험료 기준은 아래 '국민지원금 기본 선정기준표'를 보고 참고하면 됨

국민지원금 기본 선정기준표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 신청방법 기준표>

가구원수 가구별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합산액()
직장 지역 혼합
1 170,000 170,000  
2 200,000 210,000 200,000
3 250,000 280,000 260,000
4 310,000 350,000 330,000
5 390,000 430,000 420,000
6 420,000 460,000 450,000
7 490,000 540,000 550,000
8 550,000 590,000 640,000
9 640,000 670,000 820,000
10 640,000 670,000 820,000

* 혼합가구 : 가구 내 직장가입자 · 지역가입자가 모두 있는 경우
* 가구원 수 10인 이상인 경우 10인 기준 적용
* 장기요양보험료 제외

 

특례적용

코로나 상생 국민 지원금 신청 홈페이지 선정 시 1인 가구, 맞벌이 가구는 가구별 특성을 고려하여 특례 적용

  • 1인 가구
    - 고령자, 비경제활동 인구가 많은 특성을 고려
    - 직장 가입자 기준 연소득 5,800만원에 해당하는 건강보험료로 상향 조정(1인 가구 직장·지역 보험료액 170,000원)
  • 맞벌이 가구(가구 내 속득원이 2인 이상)
    - 가구원 수를 1명 추가한 선정기준표 적용
    - 지역가입자 : '20년 종합소득 300만원 이상인 경우를 소득원으로 간주
    *예시 : 2인 맞벌이 가구 = 3인가구와 동일한 건보료 기준액 적용

 

재산 기준

  •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 신청 기준을 충족하더라도, 고액을 보유한 자산가는 선정 제외
    - 가구원의 20년 재산세 과세표준 합계액 9억원 초과
    - 20년 종합소득 신고분 금융소득 합계액 2천만원 초과

 

코로나 상생 국민 지원금 신청 홈페이지 방법 Q&A

 

반응형

+ Recent posts